대한민국은 늘 인구절벽이다, 고령화다 해서 출산율 저하에 대한 성토를 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쓰는 세금은 많고 들어오는 세수는 줄어들 수 있고 그런 이유도 있을 수 있고 이보다 훨씬 복잡한 문제도 있겠지만 사실을 보면 세계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좁은 국토에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수도권은 이미 포화상태입니다. 아이를 놓고 살아가기에 쉬운 세상이 아니니 똑똑한 사람들일수록 출산은 설득력이 없습니다. 사람은 좋은 것을 하고 싶어 하고 좋은 곳으로 모이고 싶어 합니다. 돈이 있는 곳, 사람이 있는 곳은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몰릴 테고, 사람도 없고 돈도 없는 곳은 사람이 점점 더 사라 질 겁니다. 아이를 놓고 안 놓고의 문제가 아니라 쏠림 현상을 분산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합니다. 저기도 살만하고 여기도 살만하면 자연히 인구는 분산되고 경쟁은 줄어들고, 여유가 생기면 아이는 자연히 출산하게 될겁니다. 콩딱지 만한 곳에 다 모여서 죽자고 피터지게 경쟁하고 있으니 그런 환경에서 애를 놓기가 쉬울리 없습니다. 세계에서 인구가 느는 곳은 몇몇 곳이 있지만 아프리카 대륙이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산제한에 대한 지식이 없는 데다 환경이 점차 개선될수록 영아 사망률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경제개발 수준별 인구분포를 보면 세계인구 5명 중 4명이 개도국에서 살고 있습니다.
식량난 대책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 생산을 촉진하는 정책과 투자 확대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비한 농업 기술 개발과 연구 지원, 식량 재고 유지를 위한 비축 및 저장 시설 개선 식량 낭비 감소를 위한 교육 및 정보 제공 지역 사회와 국제적인 식량 관련 협력 강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식량 관련 연관이 있는 회사들을 살펴봤습니다.
씨앤알바이오 (C&R Bio): https://www.cnrbiotech.com/ (식량 재고 유지와 향상을 위한 식물 육성 및 향상된 종자 개발) 심라이즈 (Symrise): https://www.symrise.com/ (식품과 음료 산업을 위한 식품 첨가물 및 식물 성분의 개발)
바스프 (BASF): https://www.basf.com/ (농업용 화학 농약과 비료 개발 및 환경 친화적인 농업 지원)
카길(Cargill): https://www.cargill.com/ (식량 공급망의 효율성 개선 및 농작물 가공을 위한 식품 회사) 등입니다.
위의 회사들은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며 식량난 대책과 관련된 기업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식용곤충사업의 현황과 불안요소 그리고 관련주식
식용곤충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새로운 식품산업으로 간주됩니다. 블루오션이라고 해서 많은 농가들이 뛰어들었죠. 곤충은 영양가가 높고 친환경적인 태생을 가지고 있어서,
happyallpeople.com
식량난 가능성
가장 큰 요인은 기후 변화입니다. 가뭄, 폭염, 홍수 등 자연재해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이는 농작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기후 변화는 작물 성장 조건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며, 농작물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식량 수요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세계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식량 수요도 함께 증가합니다. 식량 생산의 증가가 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 식량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연관이 있지만 물과 토양과 같은 자원의 부족은 식량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물 부족은 농업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땅의 고갈과 토양의 오염 등도 식물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요인으로는 작물의 질병과 해충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수확량을 줄일 수 있는 위험이 됩니다. 이는 식량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식량난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세계 인구는 약 80억 명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인구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계속 변동하므로, 현재 시점의 세계 인구수는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해야 합니다. 인구수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아프리카 인구 증가 이유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에서 출산율이 높습니다. 저 출산에 대한 필요성이 부재 되어있고, 의료 및 행정 시스템의 한계 등이 이에 영향을 줍니다. 이로 인해 인구 증가율이 높아집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는 의료 시스템과 보건 인프라의 개선으로 인해 유아 사망률이 감소했습니다. 이로 인해 아동 생존율이 향상되고, 인구 증가에 기여합니다. 그리고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는 식량 생산성이 향상되었습니다. 개선된 농업 기술, 경작지의 확대, 농작물 향상 등이 이에 기여하여 식량의 확보가 수월해졌습니다. 이는 영양 상태를 향상하고, 생존율과 인구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주식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가 관련 주식 (0) | 2023.06.27 |
---|---|
토요타의 역사와 투자, 전기차 전망 (0) | 2023.06.25 |
도어대시 전망과 가치, 주식투자 방법 (0) | 2023.06.12 |
달달한 허쉬 역사와 전망 그리고 불안요소와 투자하는 법 (0) | 2023.06.09 |
식용곤충사업의 현황과 불안요소 그리고 관련주식 (0) | 2023.05.31 |